웹 표준, 웹 접근성, 웹 호환성
웹 표준과 웹 접근성에 대해 설명해주세요. - ⭐⭐⭐
웹 표준(Web Standards)
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에 따른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표준으로,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을 동일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치지 않도록 공통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을 의미한다.
표준화 단체인 W3C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HTML, CSS, JavaScript에 대한 규정이 담겨있다.
웹 표준의 궁극적인 목적은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보이게 하는 것이다.
웹 접근성(Web Accessibility)
사용자가 신체적 특징이나 지역, 기술적 환경, 경험 등과 같은 사항에 제한되지 않고 동등하게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,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것을 말한다.
웹에서 사용되는 보조과학기술들이 있다.
스크린 리더: 화면의 글씨를 읽어 준다
화면 확대 도구: 화면의 배율을 조절 할 수 있다.
음성 인식: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 할 수 있다.
키보드 오버레이: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.
웹 호환성(Cross Browsing)
운영체제, 브라우저 등 어느 한쪽으로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이다.
서로 다른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(화면)이 나오도록 해야 한다.
웹 표준과 웹 호환성의 차이
목적
웹 표준의 목적은 "웹의 사용성이나 접근성을 보장" 해주는 것이고, 웹 호환성은 "웹 브라우저의 버전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접근 가능하게 해주는 것"이 목적이다.
또, 웹 표준은 "웹의 내용, 표현, 행동에 관련된 기술표준"을 나타내고, 웹 호환성과 접근성이 웹 표준을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다
참고자료
Last update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