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밤바의 CS-Study
  • 🌰About CS study
  • HTML, CSS
    • 웹 표준, 웹 접근성, 웹 호환성
    • DOM, BOM, CSSOM
    • DOCKTYPE
    • 시맨틱 태그
    • meta 태그
    • SEO
  • JavaScript
    • 동기 vs 비동기
    • JS에서 비동기가 이루어지는 방식
    • 이벤트 루프란
    • 마이크로태스크 큐
    • this
    • 실행 컨텍스트
    • var, let, const의 차이점
  • React
  • Web
  • Network
    • 프로토콜이란?
    • 네트워크 식별자
    • Socket이란?
  • Operating System
Powered by GitBook
On this page
  • 웹 표준(Web Standards)
  • 웹 접근성(Web Accessibility)
  • 웹 호환성(Cross Browsing)
  • 웹 표준과 웹 호환성의 차이
  • 참고자료
  1. HTML, CSS

웹 표준, 웹 접근성, 웹 호환성

웹 표준과 웹 접근성에 대해 설명해주세요. - ⭐⭐⭐

웹 표준(Web Standards)

  • 브라우저 종류 및 버전에 따른 차이에 대하여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시된 표준으로, 다른 기종 혹은 플랫폼에 따라 달리 구현되는 기술을 동일하게 구현함과 동시에 어느 한쪽에 최적화되어 치우치지 않도록 공통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을 의미한다.

  • 표준화 단체인 W3C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웹사이트를 작성할 때 이용하는 HTML, CSS, JavaScript에 대한 규정이 담겨있다.

  • 웹 표준의 궁극적인 목적은 웹사이트에 접속한 사용자가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보이게 하는 것이다.

웹 접근성(Web Accessibility)

사용자가 신체적 특징이나 지역, 기술적 환경, 경험 등과 같은 사항에 제한되지 않고 동등하게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,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것을 말한다.

웹에서 사용되는 보조과학기술들이 있다.

  • 스크린 리더: 화면의 글씨를 읽어 준다

  • 화면 확대 도구: 화면의 배율을 조절 할 수 있다.

  • 음성 인식: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 할 수 있다.

  • 키보드 오버레이: 가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.

웹 호환성(Cross Browsing)

운영체제, 브라우저 등 어느 한쪽으로 최적화되거나 종속되지 않도록 공통 요소를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제작하는 기법이다.

서로 다른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(화면)이 나오도록 해야 한다.

웹 표준과 웹 호환성의 차이

목적

웹 표준의 목적은 "웹의 사용성이나 접근성을 보장" 해주는 것이고, 웹 호환성은 "웹 브라우저의 버전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접근 가능하게 해주는 것"이 목적이다.

또, 웹 표준은 "웹의 내용, 표현, 행동에 관련된 기술표준"을 나타내고, 웹 호환성과 접근성이 웹 표준을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다

참고자료

PreviousHTML, CSSNextDOM, BOM, CSSOM

Last updated 2 years ago

http://www.smartebiz.kr/new/subpage02_02.html
https://velog.io/@wldns12378/%EC%9B%B9-%ED%91%9C%EC%A4%80%EC%9B%B9-%EC%A0%91%EA%B7%BC%EC%84%B1%EC%9B%B9-%ED%98%B8%ED%99%98%EC%84%B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