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밤바의 CS-Study
  • 🌰About CS study
  • HTML, CSS
    • 웹 표준, 웹 접근성, 웹 호환성
    • DOM, BOM, CSSOM
    • DOCKTYPE
    • 시맨틱 태그
    • meta 태그
    • SEO
  • JavaScript
    • 동기 vs 비동기
    • JS에서 비동기가 이루어지는 방식
    • 이벤트 루프란
    • 마이크로태스크 큐
    • this
    • 실행 컨텍스트
    • var, let, const의 차이점
  • React
  • Web
  • Network
    • 프로토콜이란?
    • 네트워크 식별자
    • Socket이란?
  • Operating System
Powered by GitBook
On this page
  • 정의 및 특징
  • 종류
  • 속성
  • 참고자료
  1. HTML, CSS

meta 태그

meta 태그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- ⭐

정의 및 특징

  1. 해당 문서에 대한 정보인 메타데이터(metadata)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.

  2. base, link, script, style, title 요소와 같이 다른 메타데이터 관련 요소들이 나타낼 수 없는 다양한 종류의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때 사용되며, 이렇게 제공된 정보는 브라우저나 검색 엔진, 다른 웹 서비스에서 사용하게 된다. -> 웹 페이지에 나타나지 않고, 검색 엔진 or 웹 크롤러를 통해 수집된다. 따라서 SEO를 위해서는 적절한(웹사이트에 대해 필요한 정보가 있는) 메타 태그를 넣어주어야 한다.

  3. meta 요소는 언제나 head 요소 내부에 위치해야 한다.

  4. name or http-equiv 속성이 명시되었다면 반드시 content 속성도 함께 명시되어야 하며, 반대로 두 속성이 명시되지 않았다면 content 속성 또한 명시될 수 없다.

종류

  1. 키워드(keyword)

  2. 설명(description)

  3. 저자(author)

  4. 리다이렉트(redirect)

  5. viewport

  6. 검색 로봇 제어(robots)

  7. 제작일(date)

  8. 위치(location)

  9. 저작권(copyright)

  10. 인코딩 방식(charset)

  11. 제작 도구(generator)

  12. 배포자(distribution)

  13. 새로고침(refresh)

등

속성

  1. name: 메타데이터의 "이름"을 나타내는 속성

  2. http-equiv

    1. content 속성에 명시된 값에 대한 http 헤더를 제공(http-equiv: content 와 같은 형식)

    2. http 응답 헤더를 시뮬레이션할 때 사용할 수 있음

    3. http-equiv가 있으면 content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.

    4. refresh, content-type, default-style, content-security-policy를 사용할 수 있음

  3. content: 메타데이터의 이름(name, http-equiv)에 대한 값을 나타냄

  4. charset: 페이지의 문자 인코딩 선언

참고자료

Previous시맨틱 태그NextSEO

Last updated 2 years ago

http://www.tcpschool.com/html-tags/meta
https://yozm.wishket.com/magazine/detail/816/
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HTML/Element/meta
https://www.w3schools.com/tags/att_meta_http_equiv.asp